• 유튜브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인스타
  • 블로그

BEST 추천

세미나 & 강좌

  • 7월 사랑니

    22세기서울치과병원

    조용석원장

  • 상악전치부

    연수서울치과

    김재윤 원장

  • 김세웅원장 세미나

    22세기서울치과병원

    김세웅 원장

  • 전국투어_조용석11~12

    22세기서울치과병원

    조용석 원장

  • 한광흥_Basic Orthodontic Cours

    서울H치과

    한광흥 원장

  • 김재윤 상악동

    연수서울치과

    김재윤 원장

  • 친구추가 이벤트

  • 이재윤_행복한 치과경영

    신세계치과

    이재윤 원장

실시간

Q&A

  • Extraction and immediate implant placement Dr. Cho Yongseok

    안녕하세요 원장님! 질문이 있습니다!
    5번 7번은 비교적 정상이나 6번이 심한 치주질환으로 협 구개 측 모두 수직적 골파괴는 있고 치은의 높이는 유지중이라면
    하방에 고정을 얻을 골이 충분하다면 발즉시 소구치나 전치부 처럼 self contained defect 생각하고 fixture 식립후 주변 bone graft 하면 될까요? ㅜㅠ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1

    hyunjilove
    2023-05-31
  • Technical Criteria for Successful Prosthodontic Treatment Dr. Choi Daehoon


    강의 너무 흥미롭고 유용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들으면 들을수록 궁금증도 많이 생깁니다만 임상 지식이 미천하여 정리가 안 돼서 생각나는대로 질문 드립니다.

    1. 2강 첫 환자 케이스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전치부는 닿지 않게 스플린트 제작을 하셨는데요. Aqualizer라는 제품을 사용해도 될까요?

    2. 1번 질문에서 이어지는 질문입니다 스플린트를 사용하고 편안해진 상태에서 상태에서 중심위 채득을 하시고 왁스업을 진행하신건가요?
    교합 고경을 조금 증가시킨건가요?

    3.교합 분석을 위해서는 마운팅을 해야할 것 같은데요. 중요한 중심위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언급해 주시지 않으셨습니다.
    리프게이지나 루시아 지그 같은 하드한 것들을 이용하면 과두가 후방으로 움직이고 환자를 눕히거나 고개를 뒤로 제끼면 과두가 후방으로 움직인다
    는 언급만 하셨는데요. 그렇다면 중심위는 어떻게 채득하는게 그나마 정확한가요?
    물론 중심위란게 불안정한거라고 말씀을 하시간 하셨지만요.

    4.측방 운동을 시켜도 도저히 측방 운동을 못하시고 입술만 씰룩 씰룩 움직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런 분들은 어떻게 측방 운동을 유도 하시나요?

    5.정상적인 교합 상태인 경우 태핑 상태에서도 전치부(중절치, 측절치, 견치)와 구치부 모두 접촉이 되고 있어야 하나요?
    주로 견치 접촉과 구치 접촉을 설명하신 것 같습니다.
    전치부와 구치부가 모두 닿는 경우 전치부가 플레어링 될 수 있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측방력등의 위해한 힘이 작용할 경우에 한정되는건가요?

    6. 강의를 듣고나서 환자들을 보니 대구치 보철 수복을 원하는 환자분들 중에 상하악 견치 사이에 공간이 있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환자분이 구치부 이외에는 교정이나 다른 치아 치료는 거부하는 상태라면 견치 설측면에 레진을 덧대서 전치부에서 안정된 교합을 만들어 주고 대구치 치료하면서
    대구치에도 안정된 교합을 형성해 주면 다른 치아들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나요?

    7..60대 아주머니 환자분이십니다. 전체적으로 교모가 있으신데요. #15,16,26,36,46 임플 보철물 상태입니다. 견치도 마모 상태고 양측성 균형 교합상태입니다. 전체적으로 씹기 곤란하고 #13,14가 특히 씹을때 시큰거린다고 하십니다. 임플란트 보철물 언더 바이트입니다.
    양측성 균형 교합에 보철물 언더 바이트로인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물론 턱관절이나 저작근에 증상은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경우 보철물 교체하고 견치 레진 빌드업으로 원장님 말씀처럼 교합 시작점과 끝나는 점을 일치시켜주면 증상이 해소가 될까요? 2

    kingcozy
    2023-05-28
  • 정확한 Bite 채득으로 교합 조정 시간을 줄이는 해법!!! (Free) Dr. Kim Sewoung

    연휴 기간동안 반복해서 시청을 했습니다.
    궁금점이 생겨서 추가적으로 질문을 드립니다.

    1. 두개 이상의 임플란트 보철 수복시 패스가 안 좋은 경우에는 보철 종류(스크류나 scrp)에 상관없이 넌헥사 어벗을 이용하시는지요?

    2. 두개 이상 임플란트 보철 수복시에 헥사 어벗을 사용할 경우에 여러 치아를 조금씩 조금씩 균등하게 조여서 체결하시나요?
    아니면 한 치아를 30n 정도로 완전히 조이고 나서 다른 치아를 완전히 조이고 그 다음 치아를 조이는 식으로 체결을 하시나요?
    넌헥사는 당연히 균등하게 조여서 체결을 해야 제대로 체결을 해야할 것 같은데 헥사 어벗은 구조 특성상 한 치아를 완전히 체결하고 다른 치아로 넘어가도 될 것 같으면서도 그러면 공차가 생겨서 문제가 될 것 같기도 하고 그러네요.

    3. 싱킹 다운이나 디스크 디컴프레션등으로인한 교합 저위 현상 방지를 위해서 임시 치아 이용 기간을 가지는 것으로 아는데요.
    이런 고려 없이 곧바로 어벗에 파이널 합착해서 체결하시나요?

    4. MUC 사용하시는 분들 말씀으로는 라이트 바디 쏠때 임프레션 캡이 라이트 바디에 의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해서 교합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라이트 바디를 쏠때 주의하거나 라이트 바디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나요? 1

    kingcozy
    2023-05-28
  • 구치부단일 임플란트 수복 Dr. Kim Sewoung

    원장님 안녕하세요.
    1. 영상을 보다보니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크라운 접착시 rmgi 쓰시는 케이스도 있고 레진시멘트 쓰시는 케이스도 있던데 각 임플란트 크라운 지르코니아 pfm 골드에서 final cement로 쓰시는 종류와 상품명 알고 싶습니다. 더불어 cement type에서 쓰시는 시멘트 상품명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자연치아에서는 골드 pfm 지르코니아 크라운 시멘트 동일하게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3. 임플란트 크라운 세팅 시 처음 마진 컨택 교합 등을 확인하시는 과정에서도 토크 포스 주고 장착해보시는지 핸드로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영상에서는 케이스별로 조금 다른 가 같기도 하고 아니면 편집 때문인지 시멘테이션 하고 손으로만 스쿠루 푸는 거 같아 보여서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1

    rurouni98
    2023-05-28
  • [시즌 1] 조용석, 김세웅 원장의 [신의 한 수] 신의한수

    상악 구치부 임플란트 증례에서 상악동 골이식만 먼저한 후 몇 개월 후에 임플란트를 심을 때 협측 각화치은이 거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임플 식립 시와 임플 식립 후에 연조직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1

    leemon
    2023-05-23
  • Standard implant training course Dr. Cho Yongseok

    원장님 안녕하세요!
    (주로) 상악에서 대구치 발거후 괜찮았던 소구치 동요가 생기는경우 원인과 대처법이 궁금합니다
    1

    lsh01123
    2023-05-23
  • Doable SEDATION : 할 수 있는 진정마취 Dr. Seung-hyun Rhee

    안녕하세요. 저도 선생님께서 쓰시는 모니터 정보를 좀 알고 싶습니다 ^^ 1

    das225
    2023-05-22
  • EndoRoad file의 임상활용 Dr. Kim Pyungsik

    원장님 안녕하세요 ^^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원장님 강의 들으면서 엔도 프로토콜을 다시 점검해보고 있습니다.
    덕분에 나이타이 파일링 방법도 조금 수정해보았고, 충전법도 sealer based obturation으로 완전 갈아탔습니다. 감사해요 ^^

    제가 궁금한 것은요~
    강의 중에 원장님께서는 protaper gold랑 hyflex edm을 주로 사용하신다고 하셨는데요!
    평상시에는 주로 protaper gold를 쓰시고 만곡 근관에서만 hyflex edm을 섞어서 사용하시는 걸까요?

    저는 보통 trunatomy로 glide path 확보하고, wave one gold를 shaping file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대부분의 케이스에서는 이 파일들로 커버가 가능한데, 심하게 만곡된 근관에서는 waveone gold 쓰기가 겁이 날 때가 있습니다.
    hyflex edm 추천해주셔서 써보려고 하는데요. 기존 쓰는 파일도 있다보니, 새로운 파일들을 여러 개 사기가 난감해서요 ^^;;

    neo niti 도 #20. #25, hyflex edm 도 #20, #25 가 있더라구요.
    혹시 이 네 개 파일을 다 구비해놓고, 케이스에 따라 적절하게 섞어 사용 하시나요?
    아니면 neo niti #20 , hyflex edm #25 정도만 구비해놓으면, 왠만한 만곡 근관 케이스에서 처치 가능할까요?
    페이닥터이다보니 이것저것 다 사달라고 말씀드리기가 난감해서 ㅜㅜ 혹시 원장님은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좋은 강의 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 다음에 neo niti 나 hyflex edm 에 대해서도 강의 부탁드립니다~!! ^^ 1

    lovelyendo
    2023-05-19
  • Sinus Bone Augmentation Surgery Course Dr. Cho Yongseok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수압거상을 한번 해봤습니다만, 생각처럼되지 않아 답답했습니다.
    1.식염수 실린지에 넣고 아스퍼레이션시 뚫리지 않은 경우에서도 삭제한 본 주변의 blood가 아스페레이션 되었습니다.
    농도의 차이로 알수 있을까요? 초보라 구분이 어려웠습니다
    2.뚫렷는 지 확인 위해 bone depth gauge 를 넣엇지만 브리딩 때문에 눈금도 보이지 않고 이 또한 뚫릴까 넣는게 조심스러웠습니다.
    3.확인위헤 발사바로 부는 경우 또한 뚫릴수 있다고 해서 이 또한 조심스러 웠습니다
    초보자에게 도움 부탁드립니다! 1

    je8132
    2023-05-17
  • [시즌 1] 조용석, 김세웅 원장의 [신의 한 수] 신의한수

    4강 말미에 NP cast abutment를 사용하지 말라고 조언해 주셨는데요,
    대합치와의 간격이 좁아 SCRP로 제작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NP cast 아닌 다른 보철 옵션은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1

    leemon
    2023-05-15
  • Sinus 완전정복 Course Dr. Jeon Inseong

    안녕하세요 원장님..
    원장님의 강의들을 듣고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베이직코스, 자연치와 연결, 소켓 프리저베이션 강의를 들었고, 지금은 상악동 강의를 듣고 있는 중입니다.
    1.잔존골 높이 3-4mm 인 경우, 측방접근해서 식립하고, 빈 공간은 PRF로 채우라고 하셨는데, 만약 PRF가 준비가 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공간을 큐탄플라스트 같은 젤라틴 스폰지나, 흡수성콜라젠 같은것으로 메우는 것은 어떤가요?
    2.위와 같은 경우, 이식골이 들어가지 않다보니 아무래도 재함기화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재함기화되는 경우를 생각해서, 결과적으로 상악동으로의 돌출이 적은 7미리 길이의 픽스처와,
    텐팅되는 높이를 높게 해서 더 많은 골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하는 10미리 길이의 픽스처 중 어느것을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1

    rosamm
    2023-04-08
  • Best of the Flapless surgery Dr. Cho Yongseok

    flapless에서 협설 위치는 어떻게 결정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

    bluelion
    2023-05-14
  • All about Socket Preservation Dr. Jeon Inseong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강의 초반부에 짧은 임플란트 말씀하셨는데, 원장님이 생각하시는 짧다는 기준이 4~6mm정도도 허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로 힐링캡 다실 때 원장님이 생각하는 초기고정 등의 최소 수치가 있으신 지 궁금합니다. 1

    gusdnr0723
    2023-05-12
  • [시즌 2] 조용석, 김세웅 원장의 [신의 한 수] 신의한수

    김원장님 안녕하세요? 늘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제가 바로 아래에 올린 질문에 대한 답으로 "미리 구강 강태를 인상 채득하여 제작해 둔 작업 모형에 analog를 이 jig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라고 하셨는데요,
    그럼 작업모형에 analog가 들어갈 공간만큼 스톤 삭제하고(혹은 해당 개별 die를 빼내고) jig를 이용하여 위치시킨후 다시 analog에 스톤 푸어링하여 고정시킨다는 말씀이신가요?
    만일 그렇다면 임플 위치는 작업모형내에서 정확히 결정은 되는데요, 잇몸 모양은 custom abut를 체결하고 다시 본을 떠야하나요?
    혹시 관련자료가 있다면 죄송하지만 이멜로 부탁드려도 될까요? endurelee@naver.com
    얼마후에 임프약속이라 생각이 많아지네요.
    매우 감사합니다. 1

    tptkd123
    2023-05-08
  • Standard implant training course Dr. Cho Yongseok

    안녕하세요 원장님! 초심자 상악 10번대 식립시 개선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여쭈어봅니다
    원장님 영상을 보면 12시 방향 back position은 잘 사용안하시던데
    하악의 경우 12시에서 악궁의 형태파악에 도움이 되어 처음에는 12시 그후 옆에서 보면서 패스를 맞추려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상악의 경우 12시에서 보아도 미러뷰가 아닌 다이렉트로는 악궁의 형태 관찰이 힘들고 옆에서 접근하는 경우 10번대 식립시 손이 안에서 밖으로 향하게 되어 의도적으로 labioversion 시키려하면 손목의 방향이 먼가 부자연스럽게 느껴질때가 많습니다 후방부로 갈수록 환자분 볼의 개입 때문에 labioversion이 더 마음대로 안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식립 후 시티를 보면 특히 16보다 17로 갈수록 labiopalatal path 에 아쉬움이 남는 경우가 있습니다
    환자 고개를 왼쪽으로 살짝돌려 볼까 고민중입니다 아직 경험이 부족한 탓이 가장 크겠지만
    혹시 이럴경우 원장님 팁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1

    hyunjilove
    2023-05-05
  • 전인성 원장의 Good Choice <인식론> Dr. Jeon Inseong

    안녕하세요. 원장님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어 여기 남겨드립니다.


    1. 원장님 저서(임플란트 공리주의) 하악 이공사이에 5개 식립뒤 즉시부하 보철물 진행시 7mm이하의 임플란트는 즉시부하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고 하셨는데...현재도 불가능한것인지 궁금합니다.(4번위치에 4.5 * 7mm를 고려중이라 여쭙습니다!)

    2. 즉시부하시 기성 abutment위에 rigid cap을 씌울때 ZPC를 사용말씀하셨는데...프리미어 임플란트 시멘트는 어떠한지 여쭙습니다.

    3. 하악 전악 임플란트 식립시 발치이후 즉시식립시 환자분 통증이 심할시 pain control방법이 궁금합니다.
    (제가 수술할시 너브 데미지를 고려하여 block 마취는 잘 사용하지 않는 편이라서 침윤마취이후에 통증이 심해서 골내마취 및 아티카인을 사용해도 통증이 심하셔서 GA 수술을 계획하였습니다..ㅠ 치주염이 심하고 육아조직이 많은 상태라 마취가 잘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환자마다 통증의 역치가 달라서 그러한면이 있는거 같은데 원장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4. 하악 즉시부하 보철물+상악 덴쳐의 교합설정이 궁금합니다. 상악 덴쳐, 하악 전치부 교합일시 combination 신드롬 발생가능성이 있어서...4, 5, 6 교합 및 양측성 균형교합으로 설정이 적절할지 여쭙습니다!

    5. 기성 abutment및 ridid캡사용시 기성 abutment의 높이를 구치부는 4mm, 소구치 5.5mm, 전치부 7mm를 말씀하셨는데...향후에 즉시부하 보철물에서 rigid cap부위와 즉시부하 보철물의 결합정도가 어느정도 되어야 괜찮을지 궁금합니다.(이를테면 캡부분과 즉시부하 보철물 구치부 3mm정도, 소구치 5mm, 전치부 4mm만 결합이 되어도 괜찮을지...궁금하며, 궁극적으로는 micromovement만 없게 장착만 되면 좋은지 궁금합니다.)

    바쁘신와중에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 감사합니다! 1

    cys2c
    2023-05-05
  • Standard implant training course Dr. Cho Yongseok

    안녕하세요 원장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저는 임플란트 식립시에 하악에서는 4.5를 심으려면 4.5까지 드릴링하고 tapping drill을 써도 임플란트가 3미리 정도 안 들어가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상악에서도 골질이 강한 경우에 그렇구요.

    이런 경우 핸드랜치를 이용해 무한토크로 밀어넣게 되는데 이렇게 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원장님 케이스를 보면 1-2미리 남을때까지 스무스하게 엔진으로 넣고 그다음에 토크랜치를 쓰시더라구요.

    그러다보니 임플란트를 다시 제거하고 5.0까지 드릴링 다시 하고 임플란트를 다시 1-2미리 남을때까지 엔진으로 넣고 핸드랜치를 쓰려고는 하는데 좀번거롭습니다.

    어떻게 하는게 임플란트를 무리없이 심는 방법일까요? 지금처럼 무한토크로 넣어도 될까요? 1

    cyancion
    2023-05-01
  • [시즌 2] 조용석, 김세웅 원장의 [신의 한 수] 신의한수

    원장님 안녕하세요?
    전치부 아주 깊게 심긴 임플은 어떻게 인상을 떠야하나요?
    제일 긴 힐링을 달았는데 힐링 탑이 잇몸 깊숙히 묻혀 있습니다. 픽업타입도 잇몸위로 코핑이 어느정도 올라와야 가능할텐데요.
    우문현답 부탁드립니다. 1

    tptkd123
    2023-04-28
  • [시즌 2] 조용석, 김세웅 원장의 [신의 한 수] 신의한수

    안녕하세요? 환자중 임플 보철 셋팅한후 시간지나서 교합이 낮아지는 경우가 가끔있는데요
    sinking down 현상이 그정도로 교합을 낮아지게 하나요?
    아니면 셋팅 전후 tmj 위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일까요?
    늘 감사합니다. ^^ 1

    tptkd123
    2023-04-24

치과의사를 위한

Lecture

더보기

  • New 24:15:00
    • CyberLand Premium
    • Special Lectures
    • 총 56 강382
    • cyberland
  • New 01:03:00
    • Core 1 implant : 범용성으로의 확장가능성 파트 2 - [Live Seminar 8회]
    • Special Lectures
    • 총 1 강432
    • Dr. Jeon Inseong
  • New 03:05:00
    • 행복한 치과경영 만들기
    • Lecture Series
    • 총 6 강1517
    • Dr. Lee Jaeyoun
  • New 04:52:00
    • 1-Day Endo
    • Special Lectures
    • 총 5 강2593
    • Dr. Choi Sungbaik
  • 02:57:00
    • Suture Algorithm
    • Lecture Series
    • 총 5 강4267
    • Dr. Kim Jaeyoon
  • 03:14:00
    • Bracket & Orthodontic Wire
    • 총 6 강3794
    • Dr. Han Kwangheung
  • 03:57:00
    • How to use Universal Kit!
    • Lecture Series
    • 총 7 강4087
    • Dr. Jeon Inseong
  • 00:58:00
    • EndoRoad file의 임상활용
    • Special Lectures
    • 총 1 강2433
    • Dr. Kim Pyungsik
  • 08:14:00
    • Sinus 완전정복 Course
    • Lecture Series
    • 총 15 강21043
    • Dr. Jeon Inseong
  • 01:19:00
    • Immediate Loading (Free)
    • Special Lectures
    • 총 1 강1536
    • Dr. Choi Yongchang
  • 01:33:00
    • Differences between teeth and implants (Free)
    • Special Lectures
    • 총 2 강777
    • Dr. Choi Yongchang
  • 06:59:00
    • Narrow Ridge Management
    • Lecture Series
    • 총 6 강7920
    • Dr. Cho Yongseok

치과스탭을 위한

Lecture

더보기

  • 02:47:00
    • 치과 CS A 부터 Z 까지 친절한 설명서
    • 총 5 강352
    • Kim Miyoung
  • 01:03:00
    • 스케일링 파헤치기
    • 총 1 강437
    • Jung Suyeon
  • 00:50:00
    • 보여줄게 완전히 달라진 나 [인상채득편]
    • 총 2 강576
    • Jung Suyeon
  • 01:00:00
    • 미션 임파서블! 우리도 할 수 있다 주의사항 정복
    • 총 2 강426
    • Jung Suyeon
  • 01:07:00
    • 치과 감염 관리
    • 총 3 강712
    • Kim Jungsuk
  • 01:13:00
    • 상담에 액션 플랜을 더하다
    • 총 3 강1196
    • Kwon Soonjin
  • 06:31:00
    • 치과보험청구 Basic
    • 총 13 강6490
    • Kim Hyoejin
  • 00:44:00
    • 치과 위생사가 알아얄 할 재고 관리 & 장비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 총 2 강771
    • Kim Jungsuk

실전 임상을 위한

ClInical Video

더보기

  • 00:08:00
    • Ridge augmentation using Bone Tack & InnoOss-B
    • Clinical Videos
    • 총 1 강314
    • Dr. Jeon Inseong
  • 00:06:00
    • Extraction of mesioangular Lt. Mn third molar
    • Clinical Videos
    • 총 1 강365
    • Dr. Cho Yongseok
  • 00:07:00
    • #24, 25, 26 Implant placement with Crestal Sinus Bone Augmentation
    • Clinical Videos
    • 총 1 강368
    • Dr. Cho Yongseok
  • 00:04:00
    • #11 Crown preparation and Temporary crown setting
    • Clinical Videos
    • 총 1 강298
    • Dr. Na Kiwon
  • 00:14:00
    • Lateral sinus lift with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 Clinical Videos
    • 총 1 강143
    • Dr. Jeon Inseong
  • 00:08:00
    • Crestal sinus lift with CORE SINUS KIT
    • Clinical Videos
    • 총 1 강350
    • Dr. Kim Jaeyoon
  • 00:08:00
    • Upper posterior implant placement with Guide system
    • Clinical Videos
    • 총 1 강484
    • Dr. Kim Jaeyoon
  • 00:03:00
    • #37 Implant placement with Flapless surgery
    • Clinical Videos
    • 총 1 강679
    • Dr. Cho Yongseok

00:08:00
  • Ridge augmentation using Bone Tack & InnoOss-B
  • Clinical Videos
  • 총 1 강314
  • Dr. Jeon Inseong

00:06:00
  • Extraction of mesioangular Lt. Mn third molar
  • Clinical Videos
  • 총 1 강365
  • Dr. Cho Yongseok

00:07:00
  • #24, 25, 26 Implant placement with Crestal Sinus Bone Augmentation
  • Clinical Videos
  • 총 1 강368
  • Dr. Cho Yongseok

00:04:00
  • #11 Crown preparation and Temporary crown setting
  • Clinical Videos
  • 총 1 강298
  • Dr. Na Kiwon

00:14:00
  • Lateral sinus lift with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 Clinical Videos
  • 총 1 강143
  • Dr. Jeon Inseong

00:08:00
  • Crestal sinus lift with CORE SINUS KIT
  • Clinical Videos
  • 총 1 강350
  • Dr. Kim Jaeyoon

00:08:00
  • Upper posterior implant placement with Guide system
  • Clinical Videos
  • 총 1 강484
  • Dr. Kim Jaeyoon

00:03:00
  • #37 Implant placement with Flapless surgery
  • Clinical Videos
  • 총 1 강679
  • Dr. Cho Yongseok
bar

덴탈빈

Case Presentation

더보기

  • Implant placement in compromised region with bone defect and soft bone quality
  • Dr. Kim Yongjin
  • 224
  • Upper full-arch case using BLUEDIAMOND implant
  • Dr. Kim Yongjin
  • 170
  • Lower full arch implant placement & immediate loading using BLUEDIAMOND implant
  • Dr. Kim Yongjin
  • 157
  • Lower single molar replacement with Ø 4.1 BLUEDIAMOND implant
  • Dr. Kim Yongjin
  • 175
bar

세미나비즈로고

더보기

치의신보로고

더보기

덴탈아리랑로고

더보기

덴탈아카이브로고

더보기

    NEWS & FAQ

    • NEWS
    • FAQ

    EVENT

    close

    님에게 온
    새로운 알림이 개가 있습니다.

    알림내용 보러가기
    닫기

    이메일 주소 무단 수집 거부

    덴탈빈 은 정보통신망법 제 50조의 2, 제 50조의 7등에 의거하여, 덴탈빈이 운영, 관리하는 웹페이지 상에서 이메일 주소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덴탈빈 의 동의 없이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를 게시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게시일 2017년 01월 01일 ]

    알림